신작 詩 351

알랑방구

알랑방구 / 신타 그에게 존칭을 썼든 비위를 맞추고 알랑방구를 꼈든 그를 위한 것이기도 하지만 나 자신을 위한 것이기도 하다 나를 남을 위한 희생자로 만들지 말자 우리는 누구나 이기주의자일 뿐이다 사랑이란 목적이 아니라 사랑으로 존재하는 것이다 존재에서 우러나오는 게 곧 사랑이요 함이 없는 함이다 이타와 이기가 있지 아니하며 '존재가 사랑이냐' 그리고 '목적 있는 사랑이냐'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나를 위한 목적은 남을 위한다는 착각 속에 있고 모두를 위한 존재는 자신만을 위한다는 오해 속에 있다 나를 위해 사는 게 모두를 위해 사는 것이다 나만이가 아니라 남과 똑같이 남과 똑같은 나를 위해 살 일이다

신작 詩 2022.07.05

나비의 꿈

나비의 꿈 / 신타 절망은 불안의 새벽이다 두려움의 시간이다 온몸으로 껴안지 못하고 새벽의 한기를 외면할 때 일출은 늘 산 너머 일이다 우리는 떠오르기 직전의 태양이다 보물섬으로 향하는 나침반이다 이미 밤이 지나갔음이다 아침이 다가오고 있음이다 마지막 한 걸음 남았을 뿐 죽음이라는 환영조차 두팔 벌려 환영하자 날개가 젖는 일일 뿐이다 새벽이 지나고 아침이 밝아오면 날개 위에 햇살 퍼지리라 나비의 꿈이라고 가벼이 여기지 말자 내가 꾸는 꿈이 곧 나비가 꾸는 꿈이다

신작 詩 2022.07.05

한강

한강 / 신타 두물머리에서 나오는 뜨거움과 차가움 샤워기 통해 합수된다 거울에 비친 모습이 아니라 내 안의 모습이 바뀌어야 할 터 겸손 옆으로 바짝 다가가 우물 안 개구리보다 더 낮은음자리표 호숫가 개구리로 살리라 모든 게 내 안에서 하나임에도 어느 한쪽은 내 것이 아니라고 밀어내거나 비난하는 삶이었다 높낮이가 서로 다르다 해도 파도타기 하는 삶일지라도 이 땅의 모든 개구리와 더불어 살아가는 힘 수평선 아득한 호수 되리라 가슴이 온유한 남쪽과 이성이 냉철한 북쪽으로 나누어진 보고 있어도 보고 싶은 그대 두물머리에서 이제 하나의 강이 되자 지나온 길 서로 다르다 해도 더 많은 세월 함께였나니 뜨거움과 차가움이 하나 되는 양수리에서 너와 나 한강이 되자

신작 詩 2022.07.05

불꽃

불꽃 / 신타 낙화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언제나 타오르는 것일 뿐 땅으로 내려앉는 건 내가 아니다 한때 불꽃으로 빛나던 늙어가는 청춘의 잔상일 뿐이다 자욱한 안개가 하얀 벽처럼 보이듯 하늘이란 파란 안개와도 같은 것 1층 위에 2층이 아니라 산란하는 빛의 공허이다 불꽃에 담겨있었다 해서 열기가 함께 사라지는 건 아니지 않은가 낙화하는 재에는 열기가 없다 우리는 한때 불꽃으로 타오르다 허공으로 흩어지는 열정일 뿐 허공이란 어디에도 있지 않으며 한때 역시 어디에도 있지 않은 시간이다 모든 게 내 안이다 내 안을 벗어난 건 없으며 따라서 안도 밖도 있을 수 없다 나밖에 없는데 안팎이 어디 있겠는가 내 안에서 일어나는 한바탕 불꽃놀이인 것이다 산다는 것과 죽는다는 것

신작 詩 2022.07.05

개망초꽃

개망초꽃 / 신타 남원역사 한켠에 피어있는 꽃인지 잎인지 모를 황금빛 사진 찍어 SNS에 물어보니 모감주나무꽃이란다 능소화와 함께 하지 무렵 개화하고 열매로 염주 알을 만든다는 인터넷에 모인 사람들 덕분에 망초와 개망초 무슨 화두나 되는 양 오랫동안 품어왔던 의문 드디어 타파해보기로 했다 2미터까지도 자라는 망초에 비해 절반쯤 작은 키의 개망초지만 꽃은 망초꽃의 두 배쯤 크다 유월부터 길가에 흔한 개망초꽃 '개' 자가 붙은 이름도 얼마든지 아름다울 수 있다 개나리, 개별꽃, 개망초꽃 계란꽃이라고도 한다 처음 본 모감주나무꽃 너무도 흔해서 이름조차 제대로 알지 못했던 개망초꽃 모두가 내 우주에 들어온 빛이다

신작 詩 2022.06.27

반시 反詩

반시 反詩 / 신타 모든 게 내 것인데 무얼 부러워하리오 부둥켜안을 게 무엇이오 두려워할 게 어디 있단 말이오 내게도 주고 남에게도 주며 내게만 주지도 말고 남에게만 주지도 마오 나와 남이 하나이니 아타불이 범아일여 있음과 없음이 하나이니 색즉시공 공즉시색 내가 있는 곳에 부족이 썰물 되고 내가 사라진 곳에 충만이 밀물 된다오 나란 있으면서도 없고 없으면서도 있는 불어오는 바람이라오

신작 詩 2022.06.16

자산어보(玆山魚譜)

자산어보(玆山魚譜) / 신타 영화 '자산어보'를 보았다 누가 쓴 건지 확실히 몰라 검색해보니 정약용의 형님 정약전이 쓴 책이다 신유사옥 때 흑산도로 유배 간 정약전 거기서 고기잡이 청년 창대를 만나 물고기에 관한 글을 쓰기 시작한다 세상에 관한 글을 쓰게 되면 혹여나 왕을 부정하는 자신의 서학(西學) 사상 묻어날까 동생 약용과는 달리 사상서를 쓰지 않는다 영화는 실존 인물 창대를 새롭게 그린다 서자(庶子)에서 양반으로 신분을 세탁해 과거에도 급제하고 벼슬아치가 되지만 스승의 동생이 쓴 목민심서에 나오는 대로 백성을 보살피는 정약전의 제자 장창대 백성의 고통에 눈 감을 수 없었던 그 흙탕물에 홀로 남은 버들치처럼 백골징포 황구첨정 견디지 못하고 스스로 벼슬자리에서 기꺼이 쫓겨난다 영화의 끝 무렵, 나는 눈..

신작 詩 2022.06.15

장날

장날 / 신타 오가는 사람들 물건을 파는 사람들 누구나 눈물겨운 삶이다 자신을 먼저 사랑해야 타인을 사랑할 수 있다는 가르침 여전히 생생하지만 모두를 사랑할 때 모든 걸 사랑할 수 있을 때 나는 이미 나를 사랑하고 있음이다 어차피 나를 안다는 건 내가 아닌 남에게 달린 일 밖을 통하여 안을 볼 수 있다 장터를 지나며 곁을 스치는 사람들 그 안에서 나를 바라본다

신작 詩 2022.06.09

전화번호 지우며

전화번호 지우며 / 김신타끝을 알지 못하는 동굴처럼신호음은 자꾸만 깊이 빠져든다소리를 질러보아도아무런 메아리가 없다면이제 그만 산을 내려가야 한다멀리서도 그의 목소리 들을 수 있는오솔길 오가던 기억조차내 안에서 지워버려야만 한다봄이 겨울의 기억을 지우듯여름이 봄에 관한 기억을 지우듯…쓰다남은 건축 자재처럼낭만은 그저철제 울타리 옆에 기대어 세워져 있다나뭇잎 위에는바람과 햇살 일렁이지만우리의 마음은 오늘도 그늘 쪽이다

신작 詩 2022.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