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439

애초부터 없었던 나

애초부터 없었던 나 우리는 기억 속의 나를 자기 자신으로 생각합니다. "내가 왕년에 잘 나갔었지."라고 말할 때의 나는 '과거의 나'이며, 또한 그러한 과거의 나를 떠올리는 지금 이 순간의 나를 우리는 '현재의 나'라고 생각합니다만, 현재의 나 역시 기억 속에 있는 나일 뿐입니다. 어떠한 순간에도 우리는 기억을 벗어나지 못합니다. 그러나 진실로 나는 '기억 속의 나'가 아니라 기억 자체입니다. 기억 자체, 느낌 자체, 생각 자체가 바로 존재 자체로서의 나입니다. '기억하는 나', '느낌을 느끼는 나', '생각하는 나'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진아나 참나가 아니라 '기억 속의 나'를 말함입니다. 존재 자체를 자각할 때 비로소 우리는 자신을 자각하게 되는 것입니다. '기억 속의 나'란 관념으로서의 나를 뜻하..

깨달음의 서 2021.10.29

살며 사랑하며

살며 사랑하며 신타 사랑하는 그대와 함께라면 언제라도 어디라도 좋아요 나 그대와 함께할 수 있다면 고통의 삶도 기쁨일 거예요 천국이 지금 여기일 거예요 그대라는 바다 위에서 나는 끊임없는 사랑의 파도이며 잔잔한 기쁨이기도 합니다 그대와 함께하는 지금 여기 구름 위를 비추는 태양처럼 그림자가 생기지 않는 순수 환하게 타오르는 빛의 향연 영원한 사랑의 빛일 거예요 그대라는 바다 위에서 나는 끊임없는 사랑의 파도이며 잔잔한 기쁨이기도 합니다

우리는 모두 하나다

우리는 모두 하나다 「신과 나눈 이야기」라는 책에 보면 '우리는 모두 하나다'라는 구절이 나온다. 이처럼 내가 전체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하나로 합일된 느낌을 얻을 때, 이게 바로 불교에서 말하는 무아無我이고, 힌두교에서 말하는 지복至福이며, 기독교에서 말하는 구원救援이다. 전체 즉 신 또는 우주와 분리된 것처럼 느껴지거나 육체를 가진 내가 이 세상에 혼자 있는 것처럼 느껴질 때, 우리는 고독감과 외로움을 느끼게 되며 무언가 나락으로 떨어지는 느낌을 받기도 한다. 이게 바로 불교에서 말하는 고해苦海의 삶이며, 기독교에서 말하는 지옥地獄의 삶이다. 이와는 반대로 분리가 없어지고 합일된 느낌 또는 하나 된 느낌이 들 때 우리는 고독감이나 외로움에서 벗어나며, 이게 바로 여러 종교에서 공통적으로 주장하는 극락이..

깨달음의 서 2021.10.22

주홍글씨

주홍글씨 신타 어머니! 어머니! 당신을 부르는 것만으로도 눈물이 흘러듭니다 '지 애비 닮아서 그렇다.'는 열 살짜리 가슴에 가슴에 새긴 당신의 주홍글씨 어느덧 오십 년 세월이 지난 이제 당신을 탓하고 싶지도 않으며 그렇다고 나를 자책하고 싶지도 않습니다 다만 연두색 이파리에 그어진, 칼자국 이제는 지우고 싶습니다 두 손 마주 잡은 채 서로 무릎 꿇은 당신의 사과는 굳은살이 된 제 상처를 희미하게 그리고 마침내 사라지게 합니다 어머니! 당신의 이름은 아스라이 멀지만 어쩌면 오래전부터 당신은 제 가슴속에 머무는지도 모릅니다 이제는 당신의 손길이 아닌 저 스스로 두려움의 안개를 헤쳐나가야 할 것입니다 당신이 걷고자 했던 그 길 위에서 저 역시 말이에요 [2014년 자운선가에서 쓰다]

詩-깨달음 2021.10.21

무명 無明

무명 無明 자신의 삶에 닥쳐오는 어떠한 일이든 모든 걸 받아들이겠다는 마음가짐일 때, 우리는 가없는 평안을 느낄 수 있다. 막상 일이 닥쳤을 때 어떤 행동을 보이는지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실제로 일이 닥쳤을 때의 행동이 아니라, 일이 일어날 상황을 미리 가정했을 때의 마음가짐을 말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지금 당장 어떤 일이 닥쳤다고 가정했을 때 우리가 그것을 받아들일 수 있느냐, 없느냐 하는 상상 속의 문제이다. 그럼에도 우리 중 대부분은 자신이 원치 않는 일이 일어나는 걸 받아들이지 못하고 이를 거부한다. 마음속으로 고개를 내젓는다. 일어나서는 안 된다고. 그러나 일어날 일은 일어나고, 일어나지 않을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그게 무슨 일이든 일어난 일은 무조건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게 우리 인간..

깨달음의 서 2021.10.18

서른이 지난 어느 날

서른이 지난 어느 날 신타 원하는 결과만이 아닌 원하는 바가 이루어져 가는 순간순간 과정에 대한 감사함이 오늘 처음으로 느껴졌습니다 원하는 바가 이루어지기도 하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게 아니라 무조건 이루어진다는 사실이 깨달음으로 다가왔으며 우리가 세상을 살아갈 때 결과와 함께하는 시간보다는 과정을 겪는 시간이 더 많다는 것 오늘 새삼 깨닫게 되었습니다 결과가 나타난 때만이 아니라 이루어지는 과정인 일상에서도 기쁨과 감사를 느낄 수 있을 때 삶은 사랑으로 빛날 것입니다 멀리서 바라본다면 그토록 원하던 결과 역시 또 하나의 과정이라는 사실이 오늘 문득 느껴졌으며 결과만을 기다리지 않고 과정에서 기쁨을 느낄 때 웃음과 여유가 생긴다는 것 또한 몸으로 느낄 수 있었습니다 서른이 지나고 다시 서른이 지난 어..

詩-깨달음 2021.10.17

원리전도몽상 구경열반 遠離顚倒夢想 究竟涅槃

원리전도몽상 구경열반遠離顚倒夢想 究竟涅槃불교 반야심경에 나오는 이 구절에서 전도몽상을 한마디로 줄이면 착각이 되며, 원리전도몽상을 쉽게 얘기한다면 착각에서 벗어난다는 뜻이다. 그런데 우리가 착각에서 벗어나야 착각인 줄 알지, 착각 속에 있을 땐 그게 착각인 줄 꿈에도 모르기 때문에 원리전도몽상이 어려운 일이 되고 만다.또한 우리는 구경열반에 드는 게 목적이 아니라, 원리전도몽상 즉 착각에서 벗어나는 게 목적이 되어야 할 것이다. 집을 지을 때 1층을 먼저 짓고 그 위에 2층을 올려야 하는 것처럼 말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우리가 착각에서 스스로 벗어날 수 있을까? 착각에서 벗어난다는 말은 고정관념에서 벗어난다는 말과 같다. 우리는 누구 할 것 없이 스스로 옳다고 여겨지는 생각 또는 관념에서 쉽게 벗어..

깨달음의 서 2021.10.17

고정관념과 진리

고정관념과 진리고정관념이란 우리 의식 안에 있는 기준에 의하여, 보호받고 존중받는 관념을 말한다. 자신의 의식 안으로 받아들인 관념 중에서도, 우리는 옳은 것이 있고 그른 것이 있다고 여긴다. 옳고 그름을 가르는 기준이 형성되는 과정을, 또한 우리는 성인이 되고 정상적인 사회인이 되는 과정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기준이란 날마다 변하는 것이며, 처음엔 애써서 세웠다가 나중엔 버려야 하는 것일 뿐이다.굳게 그리고 오래 간직해야 할 것이라고 믿는 순간, 기준은 고정관념을 낳는 괴물로 변하고 만다. 스스로 옳기 때문에 자신의 관념을 놓치지 않으려고 애쓰지만, 옳고 그름의 기준은 자신에게만 옳은 것일 따름이다. 모두에게 옳은 이른바 객관적 진리 따위는 없다. 객관적 진리라고 믿는 바가 곧 독단이요 고정관념이다. ..

깨달음의 서 2021.10.16

밤비 내리는 쓸쓸함에 대하여

밤비 내리는 쓸쓸함에 대하여 신타 시월 중순의 가을 밤비 내리는 소리가 차다 생각은 해와 별을 넘나들어도 이해되지 않는 일들이 많다 가을이라 불리는 계절 밤비 내리는 소리는 왜 나를 쓸쓸하게 하는가 왜 나는 빗소리에 귀를 기울이는가 잦아드는 빗소리에 왜 나는 허전함을 느끼는가 빗소리가 이어지기를 왜 나는 바라고 있는가 우주에 비하여 먼지보다 작은 몸뚱이가 아닌 우주를 품는 무형의 존재임을 왜 우리는 깨닫기 어려운가 밤비 내리는 창가에 앉아 쓸쓸함에 대하여 시를 쓰는 내가 보이지 않는 그 무엇임을 왜 우리는 자각하지 못하는가 보이는 몸뚱이가 아닌 보이지 않는 그 무엇이 쓸쓸함을 느끼는 것임을 왜 우리는 쉽사리 깨닫지 못하는가

詩-깨달음 2021.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