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413

부끄럽지도, 부끄럽지 않지도 않은

부끄럽지도, 부끄럽지 않지도 않은 / 김신타 지금보다 삼사십 년 젊어서는 부끄럽지 않게 살아야 한다고 스스로 부끄럽지 않은 삶이라고 무던히도 거듭거듭 생각했으나 이제는 부끄럽지도 부끄럽지 않지도 않은 삶이다 이런들 어떠하리, 저런들 어떠하리 하는 마음이면서도 또한 보람 있는 삶이고 싶다 무표정한 걸음이지만 만나는 사람을 향해 웃음 띤 얼굴에 흰 구름처럼 떠 있지만 시시각각 변하는 천사의 날개이고 싶다 이제는 젊었을 때처럼 생각 속에서조차 '나와 남'이 있고 내면에서조차 '나와 너'가 있는 나뭇잎처럼 매달린 삶이 되고 싶지 않다 부끄럽지도 않고 부끄럽지 않지도 않지만 죽음과도 같이 나만을 걱정하는 관 속에 갇혀 있는 삶이 되고 싶지 않다 혼자 있을 때는 아무런 두려움 없이 우리 모두가 하나라는 마음이 되자..

詩-깨달음 2024.10.10

주체와 전체

주체와 전체 주체는 오직 하나뿐임을 알라. 그래서 천상천하 유아독존 天上天下 唯我獨尊인 것이다. 지상과 천상에서 유일하게 나만이 홀로 존귀하다는 뜻이다. 아울러 그러한 존재가 바로 신이기에 유대교를 비롯한 많은 유일신 종교가 탄생했다. 힌두교와는 달리 신이 없다는 불교도 마찬가지다. 중생이 곧 부처라고 해서 중생처럼 많은 부처가 존재하는 게 아니라, 모든 중생이 하나의 부처로 귀의하는 것일 뿐이다. 불교에서 과거에서부터 많은 부처가 있었다는 사상은 힌두교의 영향으로 보인다. 힌두교에 많은 신이 있는 것처럼 불교에서도 많은 부처가 있다는 생각을 갖게 된 것이다. 싫어하면서도 닮아 가는 게 우리 인간사(人間史)이다. 전체란 크기가 없다. 따라서 전체에는 시간과 공간이 없는 것이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무한..

깨달음의 서 2024.10.10

색즉시공이 맞는 얘기일까?

몸 마음이 나라고 믿어오다가 깨달음을 얻어 내면에 있는 '허상의 나'로부터 벗어났을 때, 세상이 텅 빈 것처럼 느껴지는 것은 외부 현실이 아니라 내면 의식일 따름이다. 그것을 우리는 내면 의식에서만이 아니라 외부 현실인 물질계에서도 같은 일이 일어나는 것으로 착각하기 때문에, 불교 반야심경에 나오는 것처럼 '색즉시공'이라는 얼토당토않은 주장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물질인 색 色이 공 空한 게 아니라, 내면에서의 현상만이 텅 빈 공으로 느껴지는 것일 뿐이다. 왜냐하면 지금까지는 '나'라는 존재가 개체이며 따라서 전체와 분리되어 있다고 믿어오다가, 자신이 개체가 아닌 전체임을 깨닫고는 개체로서의 자신 주위를 둘러싸고 있던 허상의 울타리(=나)가 사라져 버렸기 때문에, 즉 분리된 개체란 없고 전체만이 있다는 ..

깨달음의 서 2024.10.09